뉴욕 환율

2024.05.22

5월21일(현지시간)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엔화에 대해 약세, 유로화에 대해 강세를 기록. 달러화는 캐나다 인플레 둔화 속 엔화에 대해 약세, 유로화에 대해 강세를 기록. 달러화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지수는 상승. 캐나다 통계청은 금일 캐나다의 4월 CPI가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했다고 밝힘. 이는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로, 4개월째 둔화 흐름을 이어갔음. 캐나다의 CPI가 발표된 이후 시장에서는 내달 캐나다중앙은행(BOC)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종전 40% 정도에서 60%가량으로 높여 잡았음. 이 같은 소식에 캐나다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화에 상방압력을 가함.

한편, 美 연준의 대표적 매파로 꼽히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했음. 월러 이사는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연설에서 "중앙은행가들은 절대(Never)라고 절대 말하지 않지만, 데이터는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며, 아마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은 불필요할 것(probably unnecessary)으로 생각한다"고 밝힘. 이후 CNBC와 가진 인터뷰에서는 "향후 3~5개월 동안 내내 데이터가 계속 누그러지면 올해 말 그것(금리 인하를 지칭)을 하는것에 대해 생각해 볼 수도 있다"고 언급했음.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금리 인상이 필요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고 재확인했음.

Yen/Dollar : 156.171YEN (-0.119YEN), Euro/Dollar : 0.9211EURO (+0.0003EURO)
출처: Bloomberg, 종가는 美 동부시간 16:00 기준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연준은 올해 금리 전망치를 지난해 12월 전망치와 같은 4.6%로 유지한다고 밝히면서 0.25%포인트씩 3회 인하를 예상했음. 이에 달러화는 약세를 보이고 있음. 연준은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발표한 성명에서 연방기금금리(FFR) 목표치를 5.25%~5.50%로 유지한다고 밝힘. 이는 지난해 9월부터 6회 연속 동결임. 파월 의장은 FOMC 회의 직후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다음 정책 금리 행보가 인상이 될 가능성은 낮다"며, "그럴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하고 싶다"고 밝힘. 이어 금리 인상을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현재의 제한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있었다"고 언급하면서 인상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음. 시장에서는 파월 의장의 발언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이었다고 평가하고 있음. 한편, 연준은 지난 3월 회의 때는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을 4.6%(중간값)로 제시한 바 있는데 최근 인플레이션 강세로 선물시장에서는 올해 한차례 정도의 금리 인하만 예상하는 등 신중론이 커지고 있음.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업종 등 국내 대표 수출기업들의 채산성이 높아지면서 국내주식시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이러한 수출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어 투자심리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음. 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가 상승하였다는 의미이며 글로벌 투자가들이 그만큼 한국경제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함.


[상관업종 - 테마 - 종목]

국내 산업기반이 수출 중심이기 때문에 환율하락은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음. 환율하락의 피해는 국내에서 수출하는 기업군 전체이며, 특히 환헤징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가장 큰 피해주라 할 수 있음. 반면 외화 부채가 많거나 원재료 수입비중이 높아 환율하락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가 큰 기업군(항공, 해운, 식음료, 유화, 전력, 화학, 철강주)들은 상대적으로 수혜가 전망됨.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며 원화 환율이 상승할 경우에는 환율하락의 피해주로 부각되었던 주요 수출기업들이 수혜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 대표적인 환율상승 수혜주로 분류되는 업종은 자동차, 조선 등임. 이들 산업의 종목들은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높아 환율이 상승할 경우 채산성 개선효과 매우 빠르고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

원화강세수혜주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대한해운, 한국전력, POSCO홀딩스, 동국제강, 현대제철, 고려아연, 한국철강, 농심, S-Oil, SK, 대상, CJ, 삼양사,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
원화약세수혜주 :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수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