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25.02.12
    상해종합지수
    3,346.39
    • 28.33
    • +0.85%

2월12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딥시크發 AI 랠리 지속 등에 상승. 이날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3,312.26(-0.17%)으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3,310.39(-0.23%)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상승전환에 성공하며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오후 들어 상승폭을 축소하며 하락전환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재차 상승전환하며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한 끝에 장중 고점인 3,346.39(+0.85%)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딥시크發 AI 랠리 지속 등에 상승하는 모습. 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으로 테크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 증시에 대한 낙관론이 확산되고 있음. 모건스탠리는 투자노트를 통해 글로벌 투자자들은 장기간 소외받던 중국 테크와 AI 분야에서 투자 가능성을 재평가하기 시작했다며, 글로벌 투자자들의 포지셔닝이 가벼운 점을 감안하면 단기적으로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UBS는 "랠리가 절반도 안 지난 상태"라면서 풍부한 유동성 등을 고려할 때 AI 관련주가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으며, JP모건체이스도 중국에서 또 다른 전술적 랠리가 나올 것으로 전망. 이에 시장에서는 인시그마기술(+10.05%), 절보미디어(+10.03%), 상해보신소프트(+9.99%) 등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

알리바바, BYD, CATL 등 中 대표 업체들의 개별 호재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알리바바는 애플과 중국에서 아이폰 등 자사 기기에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中 전기차 업체 BYD는 전 차종에 자율주행 기능을 무료 장착하는 등 자율주행 대중화를 선언. 또한, 세계 최대 배터리 생산 업체인 중국의 CATL이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하며 홍콩 증시 상장 절차를 시작했다는 소식도 전해짐.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소프트웨어/IT서비스, 기술장비, 부동산운용, 통신서비스, 화학, 식품/약품 소매, 은행/투자서비스, 경기관련 서비스업, 산업서비스, 음식료, 소매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화하행복부동산(+7.08%), 보리부동산(+3.62%), 중국건설은행(+1.51%), 초상증권(+1.19%), 광주자동차(+0.88%) 등이 상승.

마감지수 : 상해종합지수 3,346.39P(+28.33P/+0.85%), 상해A지수 3,507.56P(+29.68P/+0.85%), 상해B지수 266.56P(+1.25P/+0.47%)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2025년1월20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주택융자 금리 기준인 5년물 LPR을 3.6%로, 일반 대출 기준이 되는 1년물 LPR을 3.1%로 각각 동결했음. 이는 3개월 연속 동결로 인민은행은 2024년 10월 5년물 LPR을 3.85%에서 3.6%로, 1년물 LPR을 3.35%에서 3.1%로 각각 인하한 뒤 지금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한편, LPR(대출우대금리)은 명목상으로는 시중은행 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의 평균치이지만, 인민은행이 각종 정책 수단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어서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볼 수 있으며, 1년 만기는 일반대출, 5년 만기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으로 알려져 있음.

과거 중국의 주요 산업은 값싼 노동력을 이용한 섬유와 신발 가공산업 등 저부가가치 산업 중심이었으나 중국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과 더불어 기술력이 향상됨에 따라 IT, 자동차, 정밀기기, 화학 등의 고부가 가치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확대.
또한,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경제규모가 점점 확대되고 있어 글로벌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점 확대. 특히, 중국정부의 기준금리 및 지급준비율 조정 등 대내외적인 정책의 변동에 따라 아시아와 우리나라의 수출과 원자재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침.


[관련업종 및 관련테마/종목]

은행 -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신한지주, KB금융, 기업은행 등

증권 - 삼성증권, NH투자증권,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등

철강, 금속 - POSCO홀딩스, 현대제철, 동국제강, 고려아연, 풍산 등

석유화학, 정유 - 롯데케미칼, LG화학, GS, S-Oil, SK이노베이션 등

건설 - DL이앤씨, 대우건설, 현대건설, GS건설, 삼성물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