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채권

2025.01.10

1월9일(현지시간) 뉴욕채권시장은 뉴욕증시 휴장에 따른 한산한 거래 속 소폭 상승. 뉴욕채권시장은 뉴욕증시 휴장에 따른 한산한 거래 속 소폭 상승하는 모습. 금일 카터 전 대통령의 장례식으로 인해 뉴욕증시가 휴장한 가운데 거래는 평소보다 적었음. 오후 1시 기준 미 국채선물 거래량은 지난 20일 평균의 85% 정도에 그쳤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뉴욕 오후 3시께 연준의 이달 금리 동결 가능성을 93.1%로 가격에 반영했음. 이는 전장보다 1.6%포인트 낮은 수치임.

한편, 지난해 9월 '빅 컷'에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미셸 보먼 이사는 추가 금리 인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시사했음. 미셸 보먼 이사는 캘리포니아 라구나 비치에서 열린 캘리포니아 은행가협회 행사에서 지난해 12월 금리 인하를 지지한 것은 "정책 재조정 국면의 마지막 단계"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이어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 있어 지속적인 진전이 없고 경제활동과 노동시장에 지속적인 강점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나는 12월 회의에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 것을 지지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음.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뉴저지주에서 열린 전미기업이사회(NACD) 경제전망 행사에서 "나는 여전히 연준이 금리 인하 경로에 있다고 본다"면서도 "연준은 데이터가 더 나올 때까지 현재 위치에서 당분간 더 머무를 수 있다"고 밝힘.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0.30bp 하락한 4.691%를 기록. 2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1.50bp 하락한 4.274%, 3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0.10bp 하락한 4.932%를 나타냄(美 동부시간 오후 2시기준). 10년물과 2년물 금리 차이는 전 거래일 40.5bp에서 41.7bp로 확대됐음.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미국 중앙은행(Fed)은 12월18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4.50~4.75%에서 4.25~4.50%로 25bp 인하했음. 금리인하 자체는 시장의 예상대로였지만 이번 성명에 추가된 문구와 점도표상 내년 기준금리 중간값 전망치가 매파적이었음. 성명에는 향후 금리 조정과 관련해 "규모와 시점(the extent and timing)"을 고려하겠다는 표현을 추가됐음. 아울러 2025년 말 금리 전망치(중간값 기준)는 3.875%로 지난 9월에 비해 50bp 상향됐으며, 2026년 말 금리 전망치도 3.375%로 역시 50bp 상향됐고, 2027년 말 전망치는 3.125%로 25bp 상향됐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결정으로 기준금리는 최고치에서 1%포인트 인하됐고 우리의 정책 기조는 이제 상당히 덜 제약적이 됐다"며 "앞으로 정책 금리 조정에 더 신중해질 수 있다"고 밝힘. 이어 "내년에 금리인하는 현재 기록된 지표가 아닌 향후 입수될 데이터에 기반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더 강해지거나 경제와 고용시장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추가 인하를 고려할 때 신중할 수 있다"고 언급했음.

일반적으로, 금리변동과 주가의 관계는 단기적인 효과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으며, 경기순환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통상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음. 따라서 미국 시장금리의 일일 등락과 증시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은 다소 무리이며, 중장기적인 금리추세와 이에 따른 경기변동에 초점을 맞추어 시장간 연동성을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함.

한편, 금리추세의 큰 흐름이 아닌 Fed 금리정책 방향과 관련된 이슈들은 시장의 단기등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국내증시 역시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 이러한 이슈들은 향후 시장간 금리차 전망에 따른 유동성의 흐름에도 영향을 줌.


[관련업종 및 관련테마/종목]

미국 금리인하 수혜주 - 이론상 정책금리 인하는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수반하는 것으로 부동산(특히 건설관련..), 금융주(은행, 증권..), 유통주(백화점, 홈쇼핑..) 등이 혜택을 받는다고 볼 수 있으며, 시장에서도 이 같은 종목군들이 통상 금리인하(경기부양) 수혜주들로 분류되고 있음.

금융주(은행,증권..) - KB금융,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삼성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등
건설관련(건설, 시멘트..) -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HDC현대산업개발, 계룡건설, 성신양회 등
유통주(백화점, 홈쇼핑..) - 신세계, 현대백화점, 대구백화점, 광주신세계, 세이브존I&C, CJ ENM, GS리테일 등

미국 금리인상 관련주 - 미국의 금리인상은 일반적으로 달러화 강세를 뒷받침하게 됨. 따라서 미국의 금리인상은 국내 수출기업들의 입장에서 볼 때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수혜를 입게 되어 미 금리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음.
수출대표주 -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중공업 등